Servlet
-
표준 액션태그와 JSP 자바빈즈Servlet 2019. 3. 4. 13:52
JSP 내장 객체는 컨테이너가 자바 소스로 변환 할때 미리 인스턴화 되고 초기화되어서 JSP페이지 내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다.따라서 서블릿 코드를 작성 할때보다 훨씬 간결하게 API를 이용하여 JSP페이지를 작성 할 수있다.XML기반 JSP 태그도 내장객체와 동일한 장점이있다.XML 기반 JSP 태그는 JSP페이지 작성 시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미리 구현해 놓고 XML문법 형태로 실행 할 수 있다. JSP 에서 XML 기반 태그는 두가지 있다. 1. 많이 쓰이는 기능을 JSP 스펙으로 이미 정의 한 다음 컨테이너마다 동일하게 구현 해놓은 '표준 액션 태그' 이다.표준액션 태그는 액션 태그명과 속성 그리고 하위 요소들이 정해져 있고 수행되는 기능도 정해져있다.특별한 선언 없이 jsp라는 접두어를 붙여 태..
-
내장객체 요약Servlet 2019. 3. 4. 07:39
- JSP내장 객체는 JSP 파일에서 자바 소스로 변환 될때 _jspService( ) 메소드에 자동으로 선언 및 초기화된 객체들을 의미한다.- , 태그에서는 내장 객체를 바로 사용할 수 있다.- 내장 객체 request의 타입은 HttpServletRequest이며 요청정보를 처리한다.- 내장 객체 response의 타입은 HttpServletResponse이며 응답정보를 처리한다.- 내장 객체 session의 타입은 HttpSession 이며 클라이언트 단위로 응답정보를 처리한다.- 내장 객체 out 타입은 JspWriter이며 클라이언트 족에 출력 처리 객체이다.- 내장 객체 application 타입은 ServletContext이며 웹 애플리케이션 단위로 처리되는 개체이다.- 내장 객체 pageC..
-
내장 객체Servlet 2019. 3. 3. 14:42
내장 객체란? 프로그램에서 변수를 사용하려면 변수를 선언하고 초기화 작업이 선행되어야함. 1. 변수 선언 -> PrintWriter out; 2. 변수 초기화 -> out = res.getWriter(); 3. 변수 사용 -> out.print("Hello"); JSP파일에서 선언 및 초기화를 하지 않고서 바로 사용할 수있는 변수들이 있다. 이렇게 사용할 수 있는 이유를 알기 위해 JSP 파일의 동작 원리를 다시 생각한다.JSP 파일을 작성할때 HTML 태그와 JSP 태그를 사용하여 작성한 다음 확장자를 jsp로 저장하면 개발자가 할 일은 끝난다.이런 JSP파일이 실행 될 때는 완벽한 자바 소스로 변환되고 , 이자바 소스가 컴파일 되어 실행 파일이 실행된다. 이 과정 중 JSP파일이 자바 소스로 변환 될..
-
JSP프로그래밍 정리Servlet 2019. 3. 3. 14:16
- JSP는 태그를 이용해서 간단하게 서블릿을 작성할 수 있게하는 기술이다.- JSP 소스는 최초 요청시 자바 소스로 변환되며 변환 후 컴파일 되어 클래스 파일이 만들어 진다. *.jsp->*.java->*.class 순으로 처리된다.- JSP 소스의 자바소스 변환과 컴파일 작업은 JSP컨테이너가 한다. - 컴파일된 클래스 파일은 서블릿 컨테이너가 실행한다.- 모든 JSP는 _jspService() 메소드를 가지면 _jspService()는 JSP 가 실행 될 때마다 호출된다.- JSP 태그는 스크립트 기반 태그와 XML기반 태그를 지원한다.- 스크립트 기반 태그는 , , , , 이다.- 태그 내에 실행문을 구현하며, 실행문을 _jspService()메소드 내로 그대로 옮겨진다.- 태그는 _jspServ..
-
JSP프로그래밍Servlet 2019. 3. 2. 14:26
JSP란?JSP(JavaServer Pages)는 HTML, DHTML, XHTML,XML과 같은 동적 웹 콘텐츠를 생성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한 J2EE 플랫폼에 자바기술이다. JSP 개념동적인 콘텐츠를 만들 때는 어떠한 형태로든 "콘탠츠를 어떻게 생성할지를 " 지시하는 프로그래밍이 필요 서블릿처럼 프로그램 소스안에 HTML 태그를 처리하면 변경이 일어날때마다 .변경이 일어날때마다 매번 컴파일 해줘야되서 동적 콘탠츠를 만들기 어려움 JSP기술은 동적으로 콘텐츠를 생성하기위해 프로그래밍 코드가 담긴 스크립트를 포함하게 하고 HTML과 유사한 태그를 통해 어려운 자바 코딩 없이 자바객체를 생성할 수 있게 한다. JSP기술은 다음과 같은 개념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템플릿 데이터 데부분 동적 웹 콘텐츠를..
-
상태정보 유지 기술Servlet 2019. 2. 25. 20:22
상태정보 유지웹에서 사용하는 HTTP 프로토콜 방식은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연결을 클라이언트 요청이 있을때마다매번 새롭게 연결하는 방식이 처럼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연결상태가 유지되지 않는 통신방식을 무상태(StateLess)라고 한다.무상태 통신 방식의 특징은 한번 접속한 후 연결이 유지 되지 않고 끊어지기 때문에 서비스를 요청한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보가 유지되지 않는다. 그래서 클라이언트가 이전 요청에서 처리결과를 계속 다른 요청에서도 사용하고 싶다면 서버 측이든 클라이언트 측이든 어딘가에 저장해서 정보를 유지해야한다. 정보를 유지하지 않는 무상태 통신방식은 다수의 사용자를 상태로하는 인터넷에서 서버의 오버헤드를 줄일수 있는 장점이 있다.일련된 작업에서 이전 서비스 결과를 이용해야할 때가 있는데.이..
-
질의 문자열(Query String)Servlet 2019. 2. 21. 13:06
질의 문자열은 클라이언트가 우베서버에 서비스르 요청할때 추가로 전달하는 데이터를 의미 검색사이트에서 검색어를 입력하거나 개인정보를 입력하여 등록하는 등 질이 문자열을 활용해서 웹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상호작용한다. 우리가 클라이언트 즉 웹 브라우저에서 직법요청하는 파일은 모두 GET 방식으로 간주한다.GET방식에는 몇가지 제한이 있어서 이를 보완하기 위한방식이 POST 방식 질의 문자열이란?웹서버에 정보를 요청할때 정해진방식으로 전달하는 데 이때 사용하는 문자열을 질의 문자열이라한다. 대부분 from 태그를 통해 질의 문자열을 전달받음 질의 문자열 전송규칙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질의 문자열들 전달될때의 특성 그대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인코딩 되서 전달됨 이 규칙은 요청방식과 관계없이 동일하게 전달됨. 질의 ..